십성(十聖)은 사주팔자에서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다른 7개의 글자와의 음양오행에 따른 생극관계에, 인간의 삶의 요소를 구체적으로 대입한 것으로 육친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이다.
십성에서 생(生)과 극(剋)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생(生)은 낳는, 도와주는, 북돋아주는, 키워주는, 지지하는 의미로 일종의 영양제이다.
극(剋)은 제어하는, 조절하는, 억누르는, 통제하는, 움직이게 하는, 소유하는 의미로 일종의 독이라 하자.
생은 영양제로, 극은 독으로 표현할 때 생과 극은 좋고 나쁨의 관점이 아니라 과한지 모자른지의 관점으로 본다.
영양제도 독도 과하지 않게 활용하면 도움이 된다.
편(偏)이란 불안정하고 불규칙적이고 예측가능하지 않아 변화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정(正)이란 안정적이고 규칙적이며 예측가능하여 변화가능성이 적다는 의미다.
현대명리에서는 정(正), 편(偏)에 따른 성별과 갯수의 의미는 적용하지 않는다.
십성론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시대에 맞게 계속 수정하며 완성되어 가는 각론이다.
▶ 재성(財星) : 편재(偏財), 정재(正財)
아극자(我剋者). 내가 극하는 것을 말한다.
일간의 에너지를 소모시키면서 갖고자 하는 관계로 일간과 음양이 같은 경우 편재(偏財), 음양이 다른 경우 정재(正財)라 한다.
육친적으로는 아버지를 의미하고, 여성에게는 시모(시댁)을 남성에게는 아내(여성)를 의미한다.
십성적으로는 일간이 소유하고 갖고자 것들이다.
돈과 재물, 숫자, 관심사, 취미 등 일간이 욕망하는 모든 것을 말한다.
◎ 인간관계
재성의 인간관계는 남녀 모두에게 아버지를 의미하다. 인성이 어머니니 인성을 극하는 재성이 곧 아버지가 된다.
남녀 모두 사주원국에서 재성이 힘이 미약하거나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면 아버지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남성에게 재성은 아내(여성)을 의미한다. 남성에게 여성은 전통적으로 소유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대상이다.
여성에게 재성은 시어머니(시댁)을 의미한다. 여성에게 남편(남성)인 관성을 생해주는게 재성이기 때문이다.
◎ 재물
재성은 마무리하고 결실을 맺는 기운인데 이 기운이 재물을 불러온다.
정재는 안정적인 고정수입을 의미하여 일반적인 직장운을 암시하고 편재는 불규칙적인 수입을 의미하여 금융, 증권, 제무, 사업과의 인연을 암시한다.
비겁의 기운과 재성의 기운이 비숫한 경우 이 재성을 비겁이 취할 수 있다. 사주원국에서 재성이 부족하면 재물을 다루는데 능숙하지 않아 큰 재산을 모으는데 불리하게 본다. 자신의 역량보다 너무 많은 돈이 들어오면 불안해서 감당하지 못한다.
사주원국에서 재성이 고립되어 위협을 당하고 있다면 재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돈을 벌면 자랑하고 싶어 사치를 하거나 위험한 투자를 하거나 요행을 바란다거나 남의 재산을 탐내는 등이다.
사주원국에서 비겁에 비해 재성이 너무 강하며 돈을 너무 쉽게 생각해 돈을 많이 모으기가 어렵다. 언제든지 벌 수 있다는 자신감에 소비하는데도 거침이 없다. 이런 경우 남의 돈을 만지는 금융이나 증권에 종사하면 업상대체가 되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 욕망, 관심사, 취미, 바쁘게 하는 것
재성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갖고싶은 것과 하고 싶은 것이 많다는 의미다. 욕망의 대상이 많으니 그만큼 바쁘게 움직여 소유하고자 한다. 몸과 마음이 바빠져 일간의 에너지가 많이 소모될 수 밖에 없다.
식상이 일의 과정이라면 재성은 일의 마무리이자 성취이다. 식상이 강하고 재성이 약하면, 분주하게 움직이는데 마무리가 적게 된다.
반대로 식상이 약하고 재성이 강하면 과정없이 결과만 도출하고자 하는 자세이다.
◎ 넓은 대인관계
식상이 소규모의 친밀한 사람들과의 관계라면 재성은 사회적 네트워크로 넓은 대인관계이다.
재성이 강하면 여러사람과 넓게 만나려고 하고 교류하면서 복잡한 관계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정립하려 한다.
재성이 강하면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사회적 관계서 어려운 상황에 놓인 사람들을 도와주는 성향이 있다.
◎ 남성에게 여성
남성이 재성이 강하면 이성과의 여러가지 일들을 겪게 된다. 여성과의 인연이 많기도 하고 구설수와 사건사고와 시달리게 되니 유의하자.
재성이 강한 남성이 강한 성향의 배우자에게 꽉 잡혀 살기도 한다. 아내에게 집착하기도 해 가정적인 모습도 있다.
남성이 재성이 고립되어 무너지게 되면 주색잡기에 빠지거나 여성으로 인해 인생이 망가지기도 하고 아내가 아프거나 사별하기도 한다.
무재인 남성의 경우 여성에게 심하게 집착하기도 한다.
▶ 재성과 다른 십성과의 관계
① 재성은 비겁으로부터 극을 받는다.
② 재성은 식상으로부터 생을 받는다.
③ 재성은 관성을 생한다.
④ 재성은 인성을 극한다.
① 재성과 비겁과의 관계
비겁은 재성을 극해 소유함으로써 비겁의 기운을 소모시킨다.
재성은 비겁이 욕망하고 원하는 것으로 돈과 재물, 관심사, 취미 등이다.
◎ 재성과 비겁의 기운이 비슷할 때
사주원국에서 재성과 비겁의 기운이 비슷하면 재성은 비겁의 것이 된다.
◎ 재성의 기운이 비겁보다 클 때
사주원국에서 재성이 기운이 비겁보다 크면 비겁은 비겁의 기운만큼만 재성을 취할 수 있는데 이를 재다신약(財多身弱)이라 한다.
비겁운이 오면 비겁이 많아져 재성을 취할 수 있는 동력이 생기나 취한 재물은 비겁들과 나누는 과정서 말썽이 생길 수 있으니 다른 비겁과 재물을 잘 나누는 지헤가 필요하다.
◎ 재성의 기운보다 비겁이 클 때
사주원국에서 재성의 기운보다 비겁의 기운이 크면 군겁쟁재(群劫爭財)의 상황이 되어 재물상의 손실이 커진다.
재성운이 올 때 상황이 악화되어 악착같은 경쟁심이 생겨 조급해지고 사업상의 큰 손실이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업은 권하지 않는데 식상운에 사업하고 싶어지니 유의해야 한다.
② 재성과 식상과의 관계
식상생재(食傷生財)의 관계로 재성은 식상으로부터 생을 받는다.
식상의 능력과 재주로 하는 경제활동(일)이 재성인 돈과 재물을 낳는다.
식상의 즐거운 소규모 모임이 재성의 유흥적인 재미로 이어진다.
재성의 무대에 식상의 활동이 펼쳐진다.
재성은 식상의 과정으로 생겨난 결과, 성과, 성취이다.
식상이 많은데 재성이 적으면 과정은 많으나 결과는 적다고 볼 수 있다.
식상은 적은데 재성이 많으면 과정없이 결과만을 바라는 경향이 있다.
③ 재성과 관성과의 관계
재성이 관성을 생하는 과정은 자연스럽다기보다 일종의 점핑이다.
재성의 일의 결과가 회사와 같은 조직성, 명에, 법규, 규범을 낳는다.
④ 재성과 인성과의 관계
재성은 인성을 극한다. 재성은 인성의 긍정적인 기능들을 억제한다.
재성은 행동하는 기운으로 인성의 생각하고 심사숙고 하는 기운을 억제한다.
재성은 유흥과 즐거움의 기운으로 인성의 공부하고자 하는 기운을 억제한다.
재성은 즉흥적이고 충동적인 기운으로 인성의 인내심과 계획성을 억제한다.
재성은 근시안적인 기운으로 인성의 장기적인 안목을 억제한다.
일반적으로 두번째 대운이 학업의 시기인데 식상, 재성운이 들어오는 경우 공부에 집중하지 못한다.
성향에 따라 보상 등을 활용하여 학업과 진학의 목표를 세워 성취를 내게할 필요가 있다.
십성이 많고 적음에 대한 내용은 정량적인 접근으로 사주원국의 구조와 십성의 오행을 배제한 내용으로 참고한다.
십성의 부재와 태과는 경향성과 방향의 문제를 나타내고 혼잡은 일관성이 결려되어 오락가락한다는 의미다.
특정 십성은 기본적으로 월지, 일지, 일간과 합하는 십성의 경우 강하다고 본다.
특정 십성이 강할 경우 그 십성의 특성과 얽힌 삶이라 할 수 있고 희노애락이 해당 십성에 달려있다. 해당 십성의 특성 자체에 문제가 있거나 태과성분이 극하는 성분에 문제가 생긴다.
특정 십성이 없을 경우 그 십성의 특성을 중요하지 보지 않아 연연하지 않는다. 또는 없으니 채워지지 않는 욕망을 추구하는 경향도 있다. 특히 재관인의 경우 없을 경우 집착의 형태로 나타나고 채우려는 노력대비 인성이 가장 채우기가 용이하다. 인성이 없는 경우도 평생 무언가를 배우고 익히면서 사는 경향이 있다.
▶ 재성(財星)이 강할 경우
재성이 강하면 욕심이 많고 현실적이어서 오늘을 산다.
재성이 강하면 욕심이 많아 급하고 바쁘다.
재성이 많으면 관심사와 취미가 많아 재밌다.
▶ 재성(財星)이 없을 경우
재성이 없으면 일에 대한 목적의식이 부족해 결과가 적다.
재성이 없으면 현실성이 떨어진다
▶ 재성혼잡(財星混雜)
재성혼잡이란 사주원국에서 재성과 편재가 같이 있는 경우이다. 사주원국에 정재가 있는데 편재운이 들어오는 오는 경우와 사주원국에 편재가 있는데 정재운이 들어오는 경우도 해당된다.
재성혼잡은 재물의 기운이 혼탁하게 섞여서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상황을 말한다.
재성혼잡의 경우 재성의 기운이 많아 재물과 인연도 많다. 다양한 방식으로 돈을 벌 수 있지만 재물을 지키는 히이 부족해 많이 벌고 많이 쓰게 된다.
재성혼잡의 상황에서는 관심사가 다양하고 다방면에서 두루두루 일을 벌린다. 이 때에는 무리한 사업확장에 조심하고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일간의 세력이 약할 때 재성혼잡은 좋지 않다. 재물과 재능에 자신이 휘둘리는 형국이라 재주도 좋고 바쁘게 살지만 재물과의 인연은 점점 멀어진다. 일간의 세력이 강할 때의 재성혼잡은 운의 흐름에 따라 재물의 향방이 갈린다. 운의 흐름이 좋을 때는 큰 재물이 되지만 운의 흐름이 좋지 않을 때는 손실도 클 수 있다.
<참조>
2024.08.08 - [사주이론] - 육친론(六親論)
2024.08.13 - [사주이론] - 십성론(十聖論)
<출처>
현묘 「나의 사주명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