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십성15

정인(正印) ▶ 정인(正印)  일간을 생해주는 관계로 일간과 음양이 다른 경우이다. 일간과 음양이 같은 경우 편인(偏印)이라 한다. . 육친적으로 어머니를 의미한다. 십성적으로는 지금의 나를 만들어 주는 양육과 교육을 의미한다.생각, 계획, 공부, 기억, 인내, 결재권, 문서, 자격, 애정, 관심, 인덕, 연민 등을 말한다. 편(偏)이란 불안정하고 불규칙적이고 예측가능하지 않아 변화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정(正)이란 안정적이고 규칙적이며 예측가능하여 변화가능성이 적다는 의미다. 정인이 긍정적으로 발현되면, 다른 사람의 심정을 잘 헤아리고 통찰력으로 학문적인 방향에서 큰 성취를 이룬다.정인이 부정적으로 발현되면, 착한 척 하느라 손해를 많이 보고, 세상물정을 몰라 사기를 당한다. 수동적이고 게을러 성취가 제한된다. .. 2024. 8. 29.
편인(偏印) ▶ 편인(偏印) 일간을 생해주는 관계로 일간과 음양이 같은 경우이다. 도식(倒食), 효신(梟神)이라고도 한다.일간과 음양이 다른 경우 정인(正印)이라 한다. . 육친적으로 어머니를 의미한다. 십성적으로는 지금의 나를 만들어 주는 양육과 교육을 의미한다.생각, 계획, 공부, 기억, 인내, 결재권, 문서, 자격, 애정, 관심, 인덕, 연민 등을 말한다. 편(偏)이란 불안정하고 불규칙적이고 예측가능하지 않아 변화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정(正)이란 안정적이고 규칙적이며 예측가능하여 변화가능성이 적다는 의미다. 편인이 긍정적으로 발현되면 사물을 바라보는 독특한 관점을 통해 예술적으로 압도적인 경지에 오른다.편인이 부정적으로 발현되면 의심이 많고 게으르고 변덕이 심해 사회생활에서 소외된다. ◎ 불안정성, 예측불가.. 2024. 8. 29.
인성(印星) 십성(十聖)은 사주팔자에서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다른 7개의 글자와의 음양오행에 따른 생극관계에, 인간의 삶의 요소를 구체적으로 대입한 것으로 육친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이다. 십성에서 생(生)과 극(剋)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생(生)은 낳는, 도와주는, 북돋아주는, 키워주는, 지지하는 의미로 일종의 영양제이다.극(剋)은 제어하는, 조절하는, 억누르는, 통제하는, 움직이게 하는, 소유하는 의미로 일종의 독이라 하자. 생은 영양제로, 극은 독으로 표현할 때 생과 극은 좋고 나쁨의 관점이 아니라 과한지 모자른지의 관점으로 본다. 영양제도 독도 과하지 않게 활용하면 도움이 된다. 편(偏)이란 불안정하고 불규칙적이고 예측가능하지 않아 변화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정(正)이란 안정적이고 규칙적이며 예측가능.. 2024. 8. 28.
정관(正官) ▶ 정관(正官)일간을 극하는 관계로 일간과 음양이 다른 경우이다.일간과 음양이 같은 경우 편관(偏官)이라 한다. 육친적으로는 여성에게는 배우자(남편)를 남성에게는 자녀를 의미한다. 십성적으로는 타인의 기운으로 일간의 욕망을 통제하는 것들이다.조직, 회사, 명예, 규범과 틀, 책임감, 자기절제, 스트레스, 정형화, 체계화 등을 말한다. 편(偏)이란 불안정하고 불규칙적이고 예측가능하지 않아 변화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정(正)이란 안정적이고 규칙적이며 예측가능하여 변화가능성이 적다는 의미다. ◎ 인간관계정관은 여성에게는 배우자(남편)을 남성에게는 자녀를 의미한다. 여성에게 정관은 가정적이고 다정한 남편을 의미하고, 편관은 집보다는 외부활동을 즐기는 활동적이고 카리스마있는 남편이다. ◎ 규칙과 매뉴얼정관은 .. 2024. 8. 27.
편관(偏官) ▶ 편관(偏官) 일간을 극하는 관계로 일간과 음양이 같은 경우이다.일간과 음양이 다른 경우 정관(正官)이라 한다. 육친적으로는 여성에게는 남성을 남성에게는 자녀를 의미한다. 십성적으로는 타인의 기운으로 일간의 욕망을 통제하는 것들이다.조직, 회사, 명예, 규범과 틀, 책임감, 자기절제, 스트레스, 정형화, 체계화 등을 말한다. 편(偏)이란 불안정하고 불규칙적이고 예측가능하지 않아 변화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정(正)이란 안정적이고 규칙적이며 예측가능하여 변화가능성이 적다는 의미다. 편관이 긍정적으로 발현되면 절제력이 강하고 목표의식이 뚜렷하여 조직에서 큰 성취를 발휘할 수 있다.편관이 부정적으로 발현되면 융통성이 없고 스트레스를 배출할 방도가 없다. 자신을 억압하는 대상이 항상 존재하여 두려움을 안고 산.. 2024. 8. 27.
관성(官星) 십성(十聖)은 사주팔자에서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다른 7개의 글자와의 음양오행에 따른 생극관계에, 인간의 삶의 요소를 구체적으로 대입한 것으로 육친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이다. 십성에서 생(生)과 극(剋)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생(生)은 낳는, 도와주는, 북돋아주는, 키워주는, 지지하는 의미로 일종의 영양제이다.극(剋)은 제어하는, 조절하는, 억누르는, 통제하는, 움직이게 하는, 소유하는 의미로 일종의 독이라 하자. 생은 영양제로, 극은 독으로 표현할 때 생과 극은 좋고 나쁨의 관점이 아니라 과한지 모자른지의 관점으로 본다. 영양제도 독도 과하지 않게 활용하면 도움이 된다. 편(偏)이란 불안정하고 불규칙적이고 예측가능하지 않아 변화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정(正)이란 안정적이고 규칙적이며 예측가능.. 2024. 8. 26.
정재(正財) ▶ 정재(正財) 일간의 에너지를 소모시키면서 갖고자 하는 대상으로 일간과 음양이 다른 경우이다. 일간과 음양이 같은 경우 편재(偏財)라 한다. 육친적으로는 아버지를 의미하고, 여성에게는 시모(시댁)을 남성에게는 아내(여성)를 의미한다.십성적으로는 일간이 소유하고 갖고자 것이고 나의 재물이다.돈과 재물, 숫자, 관심사, 취미 등 일간이 욕망하는 모든 것들을 말한다. 편(偏)이란 불안정하고 불규칙적이고 예측가능하지 않아 변화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정(正)이란 안정적이고 규칙적이며 예측가능하여 변화가능성이 적다는 의미다. ◎ 삶의 안정성 추구정재는 삶의 안정성을 추구하며 목표를 세워 꾸준히 노력하여 달성하길 원한다.정재는 조심성이 많아 허황된 꿈을 꾸거나 모험과 위험을 무릅쓰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정재는 .. 2024. 8. 25.
편재(偏財) ▶ 편재(偏財) 일간의 에너지를 소모시키면서 갖고자 하는 관계로 일간과 음양이 같은 경우이다. 일간과 음양이 다른 경우 정재(正財)라 한다. 육친적으로는 아버지를 의미하고, 여성에게는 시모(시댁)을 남성에게는 여성을 의미한다.십성적으로는 일간이 소유하고 갖고자 것이고 남의 재물이다.돈과 재물, 숫자, 관심사, 취미 등 일간이 욕망하는 모든 것들을 말한다. 편(偏)이란 불안정하고 불규칙적이고 예측가능하지 않아 변화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정(正)이란 안정적이고 규칙적이며 예측가능하여 변화가능성이 적다는 의미다.  ◎ 큰 재물, 사업성편재는 치우친 재물이다. 위험을 무릅쓰고 큰 바다로 나가 만선을 노리는 기운이다.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투자이다.편재가 강한 사람은 자신의 돈이 아닌 남의 돈으로 사업하는 것을 .. 2024. 8. 24.
재성(財星) 십성(十聖)은 사주팔자에서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다른 7개의 글자와의 음양오행에 따른 생극관계에, 인간의 삶의 요소를 구체적으로 대입한 것으로 육친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이다. 십성에서 생(生)과 극(剋)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생(生)은 낳는, 도와주는, 북돋아주는, 키워주는, 지지하는 의미로 일종의 영양제이다.극(剋)은 제어하는, 조절하는, 억누르는, 통제하는, 움직이게 하는, 소유하는 의미로 일종의 독이라 하자. 생은 영양제로, 극은 독으로 표현할 때 생과 극은 좋고 나쁨의 관점이 아니라 과한지 모자른지의 관점으로 본다. 영양제도 독도 과하지 않게 활용하면 도움이 된다. 편(偏)이란 불안정하고 불규칙적이고 예측가능하지 않아 변화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정(正)이란 안정적이고 규칙적이며 예측가능.. 2024. 8. 23.
상관(傷官) ▶ 상관(傷官)일간이 생하면서 동시에 일간의 기운을 설기하는 관계로 일간과 음양이 다른 경우이다.  퇴재(退財), 모기(耗氣), 도기(盜氣)라고도 한다.일간과 음양이 같은 경우는 식신(食神)이라 한다.  육친적으로는 부하, 후배 등 아랫사람을 의미하고, 여성에게는 자식을 남성에게는 장모(처가)를 의미한다.십성적으로는 나로부터 나오는 것들이다.나의 생각, 감정, 의지등 말과 행동으로 표현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표현의 방식인 음악, 미술, 춤 등을 실행하는 예술(성)을 의미한다.  식상은 의식주의 복록을 의미하고 상관은 재능을 바탕으로한 자기 표현이 강해 기발한 방법으로 목적을 달성하는 기운이다.식상은 일관적이고 예측가능한 기운이나 상관은 변화무쌍하고 폭발적인 기운이다.  ◎ 남다른 재주, 재능상관이 강.. 2024. 8. 22.
식신(食神) ▶ 식신(食神)일간이 생하면서 동시에 일간의 기운을 설기하는 관계로 일간과 음양이 같은 경우이다.일간과 음양이 다른 경우는 상관(傷官)이라 한다.  육친적으로는 부하, 후배 등 아랫사람을 의미하고, 여성에게는 자식을 남성에게는 장모(처가)를 의미한다.십성적으로는 나로부터 나오는 것들이다.나의 생각, 감정, 의지등 말과 행동으로 표현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표현의 방식인 음악, 미술, 춤 등을 실행하는 예술(성)을 의미한다. 스스로 원해서 베푸는 행위도 해당된다. ◎ 의식주의 복록식신은 자신에게 주어진 의식주의 타고난 복이다. 편안한 기운으로 오래오래 건강하게 사는 기운이다.식신은 의식주가 해결되어 활발하게 활동하는 원동력이다.식신은 나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재주, 재능, 기술, 예술성, 상품 등을 의미한.. 2024. 8. 21.
식상(食傷) 십성(十聖)은 사주팔자에서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다른 7개의 글자와의 음양오행에 따른 생극관계에, 인간의 삶의 요소를 구체적으로 대입한 것으로 육친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이다. 십성에서 생(生)과 극(剋)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생(生)은 낳는, 도와주는, 북돋아주는, 키워주는, 지지하는 의미로 일종의 영양제이다.극(剋)은 제어하는, 조절하는, 억누르는, 통제하는, 움직이게 하는, 소유하는 의미로 일종의 독이라 하자. 생은 영양제로, 극은 독으로 표현할 때 생과 극은 좋고 나쁨의 관점이 아니라 과한지 모자른지의 관점으로 본다. 영양제도 독도 과하지 않게 활용하면 도움이 된다. 현대명리에서는 정(正), 편(偏)에 따른 성별과 갯수의 의미는 적용하지 않는다.십성론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시대에 맞게 계속.. 2024. 8. 18.
겁재(劫財) ▶ 겁재(劫財) 재물을 위협하다라는 뜻으로 일간과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른 경우를 말한다. 패재(敗財), 축마(逐馬)라고도 한다. 일간과 오행이 같고 음양이 같은 경우 비견(比肩)이라 한다. 육친적으로는 겁재는 치열한 경쟁자와 적을 의미한다.십성적으로는 나의 숨겨진 이면의 확장이다.투쟁, 강탈, 부도, 탈재, 시비, 폭력, 배신, 강탈, 타의에 의한 지출 등을 의미한다. 천간의 겁재는 투쟁성과 경쟁적인 것을 의미하고, 지지의 겁재는 횡액, 탈재, 타인에 대한 배려를 의미한다.  ◎ 보이지 않는 나겁재는 내가 모르는 나로 이중성을 가지고 표리가 달라 속마음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겁재는 보이지 않게 목적을 실행하고 잠재적인 힘을 끌어내는 힘이다.겁재는 빼앗기는 것에 대한 공포로 먼저 공격하고 살아남기 위해 .. 2024. 8. 17.
비견(比肩) ▶ 비견(比肩)  나와 어깨를 견주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일간과 오행이 같고 음양이 같은 경우를 말한다. 일간과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른 경우 겁재(劫財)라 한다. 육친적으로는 비견은 형재자매, 친구, 동기, 동료, 동업자 등을 의미한다.십성적으로는 나의 확장이다. 천간의 비견은 정신적인 번거로움을 가져와 도움이 안되고, 지지의 비견은 건강과 수명에 도움을 주어 긍정적이다. ◎ 인간관계비견은 일간과 같은 오행을 가지고 음양도 같은 나와 같은 조건의 사람들을 의미한다.비견은 형제자매, 친구, 동기, 동료, 동업자 등을 말한다.사주에 비견이 강하면 나와 같은 조건의 사람들이 여러명 내 주위에 포진해 있다고 본다.  ◎ 자존심나와 음양이 같은 오행이 더 있다는 것은 자아가 탄탄하다. 자존심과 고집이 굉장히 강하.. 2024. 8. 16.
비겁(比劫) 십성(十聖)은 사주팔자에서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다른 7개의 글자와의 음양오행에 따른 생극관계에, 인간의 삶의 요소를 구체적으로 대입한 것으로 육친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이다. 십성에서 생(生)과 극(剋)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생(生)은 낳는, 도와주는, 북돋아주는, 키워주는, 지지하는 의미로 일종의 영양제의 의미다.극(剋)은 제어하는, 조절하는, 억누르는, 통제하는, 움직이게 하는, 소유하는 의미로 일종의 독이라 하자. 생은 영양제로, 극은 독으로 표현할 때 생과 극은 좋고 나쁨의 관점이 아니라 과한지 모자른지의 관점으로 본다. 영양제도 독도 과하지 않게 활용하면 도움이 된다. 현대명리에서는 정(正), 편(偏)에 따른 성별과 갯수의 의미는 적용하지 않는다.십성론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시대에 맞게.. 2024.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