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이론6

십성론(十聖論) 십성(十聖)은 사주팔자에서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다른 7개의 글자와의 음양오행에 따른 생극관계에, 인간의 삶의 요소를 구체적으로 대입한 것으로 육친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이다. 십성에서 생(生)과 극(剋)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생(生)은 낳는, 도와주는, 북돋아주는, 키워주는, 지지하는 의미로 일종의 영양제의 의미다.극(剋)은 제어하는, 조절하는, 억누르는, 통제하는, 움직이게하는, 소유하는 의미로 일종의 독이라 하자. 생은 영양제로, 극은 독으로 표현할 때 생과 극은 좋고 나쁨의 관점이 아니라 과한지 모자른지의 관점으로 본다. 영양제도 독도 과하지 않게 활용하면 도움이 된다. 편(偏)이란 불안정하고 불규칙적이고 예측가능하지 않아 변화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정(正)이란 안정적이고 규칙적이며 예.. 2024. 8. 13.
육친론(六親論) 명리에서 육친(六親)은 부(父), 모(母), 형(兄), 제(弟), 처(妻), 자(子)와 더불어 자신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특수관계인을 말한다.오행의 생극관계를 일간과 가까운 인간관계에 대입하여 살펴보는 이론이다.현대명리에서는 정(正), 편(偏)에 따른 성별과 갯수의 의미는 적용하지 않는다.남성과 여성은 육친의 의미가 다르고 의미있는 육친관계는 아래와 같다. 육친에서 생(生)과 극(剋)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생(生)은 낳는, 도와주는, 북돋아주는, 키워주는, 지지하는 의미로 일종의 영양제의 의미다.극(剋)은 제어하는, 조절하는, 억누르는, 통제하는, 움직이게하는, 소유하는 의미로 일종의 독이라 하자. 생은 영양제로, 극은 독으로 표현할 때 생과 극은 좋고 나쁨의 관점이 아니라 과한지 모자른지의 관점.. 2024. 8. 8.
궁성론(宮星論) 사주를 해석하기 위한 여러 방법론 중에 궁성론에 대해 알아보자.이런 방법론은 절대적이지 않으며 사주를 해석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을 의미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 궁성론(宮星論)궁위론은 사주팔자의 년월일시 자리의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위치에 따른 오행과 육친을 해석하는 고전명리의 이론이다.궁성론은 궁위론에 십성의 의미를 부여한 이론으로 대만의 하건충의 이론을 활용한다.각 궁위별 십성의 의미를 보고 사주팔자의 간지의 십성의 의미를 해석한다.   궁성론에서는 팔자의 궁(宮)과 성(星)의 건전여부는 조옹(助旺), 생왕(生旺), 손실(損失), 파궁(破宮), 파성(破星)으로 분류된다. 정인의 궁(宮)인 연지에 자리한 육친(星)에 따라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 정인궁에 비견이 있으면, 정인궁은 비견성을 생(.. 2024. 7. 30.
궁위론(宮位論) 사주를 해석하기 위한 여러 방법론 중에 궁위론에 대해 알아보자.이런 방법론은 절대적이지 않으며 사주를 해석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을 의미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그럼에도 궁위적인 관점에서 일지와 월지는 가장 중요하며 의미가 있다. ▶궁위론(宮位論)사주팔자의 년월일시 자리의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위치에 따른 오행과 육친을 해석하는 고전명리의 이론이다.천간은 드러나는 것으로 일간의 마음과 욕망을 나타내고 지지는 드러나지 않는 것으로 일간의 현실과 실질적인 면을 나타낸다.자리에 대한 해석은 순차적인 해석과 구조적인 해석을 할 수 있다.  ◎ 순차적인 해석궁위론은 년월일시를 순차적으로 해석하면 년부터 월, 일, 시로 나아가면 그 범위가 줄어들고 구체적이라고 할 수 있다.근묘화실(根苗花實)과 원형이정(元亨利貞).. 2024. 7. 29.
명리학사 명리학은 고대 중국에서부터 유래되어 천문지리, 점성학, 도교, 주역, 불교 등의 사상의 영향을 주고받으며 체계를 갖추었다. 기록에 관한 시기는 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하니 아래 그림에 표시된 시기는 참고로 사용한다. 이 글에서는 명리학의 기본 사상이 되는 음양오행, 천간지지, 십성, 십이운성, 용신 등의 이론 체계의 과정을 정리하고자 한다.아래 그림에서도 알수 있듯이 사상이 정립되는 시대의 순서를 보면 음양에서 오행이 나오고 간지로 발전한 것이 아니다. 간지는 상(은)나라 때 역법에 활용되고, 전국시대에 음양과 추연의 오덕종시설서 오행의 극이,한나라때 음양과 오행을 결합하여 음양오행 사상이 정립되고 오행의 생이 설명되어 명리학의 기초가 확립되었다.당나라때 연간을 중심으로 한 당사주가 유행되다,송나라때 서자평.. 2024. 7. 26.
사주의 구성 사주를 구성을 이해하기 위해 역법(절기력), 세수(입춘세수설), 둔월법, 둔시법등에 대해 알아보자. 현대 명리에서는 역법으로는 절기력을 사용하고, 한 해의 시작은 입춘을 기준으로 하고, 하루의 시작은 자시를 기준으로 한다. 만세력 프로그램 사용시 야자시와 조자시 적용 가능, 서머타임, 지역에 대한 위치보정까지 적용한 프로그램 사용을 권장한다. 인간이 사용하는 시간은 자연의 시간을 인간의 편의성에 맞춰 단위화하고 단위도 다 다르게 사용한다.  ▶ 사주팔자 구성사주팔자의 년월일시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월지는 입춘세수설에 따라 년간을 기준으로 인월에서 축월까지 12개로 정해지고,시지는 일간을 기준으로 자시에서 해시까지 12개로 정해진다.   ◎ 연주 정하는 법연주는 60갑자 순서에 따라 입춘을 기준으로 정해진.. 2024.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