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용어17

관인상생(官印相生) ▶ 관인상생(官印相生) 관인상생(官印相生)은 일간이 약할 때 강한 관성의 기운을 인성으로 설기하여 일간에게 힘을 보태주는 것을 말한다.쉽게 말해 적군을 아군화시키는 과정이다.관성이라는 국가, 조직, 틀, 법규, 규율, 업무, 책임, 과제에 맞추어 행동했을 때 그에 대한 승진, 혜택, 자격, 학위, 인정, 사랑을 받는 모습니다.관성은 일간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기운이지만 지키고 극복하면 사회가 부여하는 명예(자격, 직책, 존경, 위엄 등)가 된다.일간이 정관의 사회적 책임과 임무를 잘 수행하여 인성인 아이디어, 생각, 지혜로 성과를 만들어 낸다.식상생재가 개인의 영역이라면 관인상생은 사회, 조직, 국가적인 범위이다. ◎ 관인상생의 예시학교에서 규율과 책임을 잘 수행하여 인정받고 졸업과 학위를 받는다.자격증 .. 2025. 4. 2.
신왕관왕(身旺官旺) ▶ 신왕관왕(身旺官旺) 신왕관왕(身旺官旺)은 일간도 왕하고 관성도 왕하다는 의미다. 일간이 약하면 관성이 살(殺)이 되어 일간을 공격하여 힘들어 지는데,일간이 왕하면 관성을 감당할 만하여 관성으로 귀해진다고 본다. 극관계의 십성끼리 기운의 크기와 상태가 비슷한 경우는 긍정적으로 본다.비겁과 재성의 관계, 식상과 관성의 관계, 재성과 인성의 관계에서 기운의 기능과 상태를 살펴야 한다.      현묘   「나의 사주명리」현묘   '안녕, 사주명리'  블로그 명재원     '사람공부'  유튜브 2025. 4. 2.
재극인(財剋印) ▶ 재극인(財剋印), 편인제화(偏印劑化), 탐재괴인(貪財壞印) 강한 재성이 약한 인성을 극제하는 경우이다.재극인이 긍정적으로 발현되면 편인제화(偏印劑化)의 상황이 되고, 부정적으로 발현되면 탐재괴인(貪財壞印) 상황이 된다. 재성이 재극인을 하는 이유는 재생관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재성이 관성을 생하지 않으면 재극인하게 되고 관성이 없어도 재극인하게 된다.재성이 관성을 생하지 못하면 관성의 능력과 가치를 인정하지 않았기에 발생하는 재극인이다.관성이 이루어 놓은 업적과 인품, 지위 등이 보잘것 없다 생각했으니 이를 무시하고 하극상을 벌인 것이다.  ▶ 편인제화(偏印劑化) 편인제화는 인성이 부정적인 상황일 때(인성이 강할때), 재성이 인성을 극제하여 쓸모있게 만든다는 의미다.인성이 강하면 생각(꿈)이 많은데,.. 2025. 4. 2.
재생살(財生殺) ▶ 재생살(財生殺)  신약한 상황에서, 재성이 관성을 생해주어 일간에게 큰 부담을 주게 되는 경우이다.주로 부정적으로 발현된 경우를 말한다.이 때, 살(殺)은 일간에게 부담이 되는 편관, 정관이 맣은 경우, 관성혼잡의 경우를 포함한다.         현묘   「나의 사주명리」현묘   '안녕, 사주명리'  블로그 명재원     '사람공부'  유튜브 2025. 4. 2.
재생관(財生官) ▶  재생관(財生官)  신강한 상황에서, 재성이 관성을 생해주어 관성이 비겁을 극제하여 부정성을 줄여주는 경우이다.주로 긍정적으로 발현된 경우를 말한다.        현묘   「나의 사주명리」현묘   '안녕, 사주명리'  블로그 명재원     '사람공부'  유튜브 2025. 4. 2.
재다신약(財多身弱) ▶ 재다신약(財多身弱) 사주에 재성이 많아 신약해진 경우로 일간의 기운이 약해 재물에 끌려다니거나 부담을 느낀다.재다신약이면 탐욕스럽고, 수단과 요령, 허세가 크다.재물을 추구하지만 내 것은 적다.남을 잘 되게 하면 그 중에 내 것도 있다. 남성 재다신약은 주로 사업을 추구하며 흥망을 오간다.여성 재다신약은 사업을 추구하기도 하고, 금융, 재무, 명품샵 등 재물이 많은 환경에서 일하는 경향이 있다. 재다신약은 운에서 득비이재(得比理財)하면 재물을 번다. 이 때 식상이 깨지면 안된다.운에서 인성이 오면 신약에는 도움이 되지만, 재성을 약화시키 때문에 직접적으로 재물을 벌기는 어렵다.      현묘   「나의 사주명리」현묘   '안녕, 사주명리'  블로그 명재원     '사람공부'  유튜브 2025. 4. 2.
신왕재왕(身旺財旺) ▶ 신왕재왕(身旺財旺) 신왕재왕(身旺財旺)은 사주에 재성이 많은데 일간이 왕하여 많은 재성을 감당할 만하여 재성으로 귀하게 된다고 본다.비겁이 재성보다 강한 군겁쟁재와 재성이 비겁보다 강한 재다신약과 반대의 경우이다.극관계의 십성끼리 기운의 크기와 상태가 비슷한 경우는 긍정적으로 본다.비겁과 재성의 관계, 식상과 관성의 관계, 재성과 인성의 관계에서 기운의 크기와 상태를 살펴야 한다.     현묘   「나의 사주명리」현묘   '안녕, 사주명리'  블로그 명재원     '사람공부'  유튜브 2025. 4. 2.
상관패인(傷官佩印) ▶ 상관패인(傷官佩印) 상관이 정인을 만나있는 것을 말한다. 정인이 없으면 편인이라도 만난다. 정인은 상관의 편관이다. 상관패인이 잘 되면 전문성, 문학적 소양 등을 발휘할 수 있다. 일간을 있게 해주는 인성과 일간의 재능인 상관이 면하고 있다면 일간의 인풋이 아웃풋이 되는 것이라 전문성을 발휘한다.예를 들어 작가라고 하면 다독은 인성의 작용이고 다작은 상관의 작용이니, 상관패인이 잘 되면 문학적 소양이 높을 수 있다.    현묘   「나의 사주명리」현묘   '안녕, 사주명리'  블로그 명재원     '사람공부'  유튜브 2025. 4. 2.
상관제살(傷官制殺) ▶ 상관제살(傷官制殺), 상관합살(傷官合殺) 천간에서의 구조를 의미하고, 지지에서는 예외적으로 작용한다.상관제살(傷官制殺)은 양일간을 극하는 편관을 상관이 극제하는 것을 말한다. 상관합살(傷官合殺)은 음일간을 극하는 편관을 상관이 합하여 극제하는 것을 말한다. 관성을 누그러뜨리는 식상이 있는  상관제살(傷官制殺), 상관합살(傷官合殺)의 구조를 지닌 사람은 타협, 교섭, 합의에 능하다.상관합살(傷官合殺)은 적을 아군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여성의 사주에  상관합살(傷官合殺)이 있는 경우 말솜씨와 수완이 좋고, 애교와 교태, 매력이 있다.       현묘   「나의 사주명리」현묘   '안녕, 사주명리'  블로그 명재원     '사람공부'  유튜브 2025. 4. 2.
식신제살(食伤制殺) ▶ 식신제살(食伤制殺), 식상제살(食傷制殺) 살(殺)이란 일간에게 부담이 되는 관성을 의미한다.편관은 칠살이라 하고, 정관이 많은 경우도 일간에게는 살이 된다.  편관(칠살)은 일간을 극제하고, 식신은 편관을 극제한다.즉, 식신은 편관의 편관이고, 상관은 편관의 정관이다.식신은 일간의 도움을 받아 편관을 극(極)하여 편관으로부터 일간을 보호한다.  원국에 편관이 왕한데 식신이 없으면 상관으로 제살한다. 식신제살은 사회적으로는 정의구현, NGO, 사회복지 등의 분야에 적합하다. 개인적으로는 치유, 상담, 의료 등의 분야에 적합하다. 식신제살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편관이 왕해 일간이 신약한 경우이다.- 인성이 없는 경우이다. 원국에 인성이 있으면 편관은 일간을 극하지 않고 관인상생한다.- 일간과 식신이 .. 2025. 4. 2.
상관상진(傷官傷盡) ▶ 상관상진(傷官傷盡) 상관을 극하여 그 기운이 기진맥진하였다는 의미다.상관의 기운이 과도하게 되지 않게 재성으로 설기하고 인성으로 극제한다.이 때 재성과 인성이 첩신되면 재성이 인성을 극해 상관상진하지 않는다.    현묘   「나의 사주명리」현묘   '안녕, 사주명리'  블로그 명재원     '사람공부'  유튜브 2025. 4. 2.
식상생재(食傷生財) ▶ 식상생재(食傷生財), 식신생재(食伤生財), 상관생재(傷官生財) 식신생재(食伤生財)는 생산의 의미고, 상관생재(傷官生財)는 유통의 의미다.식신생재는 일반적인 생재로 무에서 유를 생산, 제조, 육성하는 것이다.상관생재는 드라마틱한 생재로 기존에 존재하는 것을 유통하거나 부가가치를 만드는 등 업그레이드되는 것을 말한다. 상관이 편재를 만나면 한 방을 노리는 기운이 있다.  현묘   「나의 사주명리」현묘   '안녕, 사주명리'  블로그 명재원     '사람공부'  유튜브 2025. 4. 2.
군겁쟁재(群劫爭財) ▶ 군겁쟁재(群劫爭財), 군비쟁재(群比爭財), 견겁쟁재(肩劫爭財) 사주 원국에서 비겁과 재성과의 관계를 볼 때 비겁의 세력이 재성보다 너무 큰 구조를 말한다.재성이 있어도 근이 약하거나 손상되어 있으면 재물을 벌어들이는 힘이 약하다.재성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은 관성인데 관성이 약하거나 무력하면 벌어들인 재성을 유지하는 힘이 부족하다. 원국서 재성이 천간에 있으면 드러난 재성이라 비겁들의 공격의 대상이 된다.원국서 재성이 천간, 지지에 있지 않고 지장간에 있으면 군겁쟁재의 대상이 되지 않고 일간의 것이 될 수 있다.  천간의 재성의 근이 지지의 비겁에 있거나, 지장간의 재성이 비겁의 지지에 있으면 재성의 흥망이 비겁에 의한 것임을 암시한다.비겁이 태왕한 경우 비겁과의 관계가 희기동소(喜忌同所)가 된다. 비겁.. 2025. 4. 2.
신왕무의(身旺無依) ▶ 신왕무의(身旺無依)  신왕무의(身旺無依)란 비겁이 강한 신강한 사주에서 식상, 재성, 관성이 약하거나 없고, 거의 무력하여 일간이 의지할 데가 없어 정처없이 떠돈다는 의미다. 격국서 월지의 재관격(財官格)으로 비겁이 태다할 때이다.즉, 신강한 일간을 사회적 쓸모가 있게 하는 식재관이 무력하면 운의 작용도 기대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삶의 스펙트럼이 다양한 현대사회이다.타인과 비교하지 않고 자신만의 삶의 쓰임을 스스로 성찰해서 찾아갈 수도 있다. 신왕무의 승도지례 : 신왕한데 의지처가 없으면 승도의 무리가 된다.도화곤랑 창기지류 : 도화가 물결치면 창기의 무리가 된다.금약화강 토목소용지장 : 금이 약하고 화가 강하면 토목장이나 청장이 된다.토다수천 행상침선지공 : 토가 많고 수가 얕으면 행.. 2025. 4. 2.
급신이지(及身而止) ▶ 급신이지(及身而止)  급신이지(及身而止)는 사주의 오행이 유통되다 원국에 식상이 없어 일간에서 멈춰진 경우를 말한다. 원국의 오행이 급신이지에 멈추면 그만 그 뜻을 완성하여 펴보지 못하고 멈춰지게 된다는 뜻이다.즉, 순환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운에서 식상이 들어오는 시기에 유통이 가능해진다. 斷曰: 惜乎아 憤乎아 及身而止여 雖有成功이나 未展鵬圖라.(단왈: 석호아 분호아 급신이지여 수유성공이나 미전붕도라)단언하면: 애석하도다! 분하도다! 급신이지여. 비록 성공이 있으나(눈앞에서 아련 거리지만)아직 원대한 포부를 다 펴보지 못함이라. : 자강 이석영 선생의 『사주첩경 四柱捷徑』>    현묘   「나의 사주명리」 자강 이석영  「사주첩경 四柱捷徑 」현묘   '안녕, 사주명리'  블로그 명재원     '사람공.. 2025. 4. 2.
금화교역(金火交易) 금화교역(金火交易), 화금교역 (火金交易) 주역에서 유래된 말로 여름(화)이 끝나고 가을(금)이 시작되는 시기란 뜻으로, 만물이 열매를 맺듯 지금껏 해 온 일들이 결실을 맺는다는 의미다.목화 상생, 금수 상생, 수목 상생인데 화금만 교역이다. 상생은 이전 단계에서 다음단계로 자연스럽게 이어가는 계승의 의미인데 교역은 전 단계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새로운 결실을 만든다는 의미다.  화에서 금으로 넘어가는 것은 양의 확장에서 음의 축소로 넘어가는 것이다. 화금은 양의 끝에서 음의 시작으로 넘어가는 변곡점이 된다. 금화교역은 일종의 체질개선이다. 방만한 조직이 구조조정으로 옥석을 가리고, 농작물이 서리를 맞아 튼튼한 것들만 살아남는 것이다. 대한민국은 1997년 IMF로 금화교역의 시기를 맞이했다. 금화교역은 .. 2024. 6. 20.
확금자불견인(攫金者不見人) 확금자불견인(攫金者不見人) ‘열자(列子) 설부편(說郛篇)’에 나오는 이야기다.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나라의 어떤 자가 금장수의 금덩어리를 훔쳐 가지고 달아나다 붙잡혔다. “이 녀석아, 사람들이 보고 있는데 도둑질을 하는 놈이 어디 있단 말이냐?” 도둑은 이렇게 대답했다. “금을 훔칠 때는 옆에 사람이 있는 게 보이지 않습니다. 금만 탐이 났지요.” ‘돈을 움켜쥐면 사람을 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물욕에 눈이 어두워지면 의리나 염치를 몰라 큰 낭패를 보게된다.  축록자불견산(逐鹿者不見山) ‘허당록(虛堂錄) ’에 나오는 이야기다. “사슴을 쫓는 자, 산을 보지 못한다(逐鹿者 不見山)”고 했다.  개인의 명예나 욕심에 사로잡힌 사람은 도리를 저버리거나 눈앞의 위험을 돌보지 않아 결국 지탄을 받고 오명을 남.. 2024.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