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은 아래 [그림1]과 같은 상생상극의 관계를 가진다.
오행의 상생은 자연의 흐름이고 지구의 공전과도 같다.
상생상극은 시간의 흐름순으로 존재하고 역순은 존재하지 않는다.
○ 오행의 상생 :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이라 말하고 시간의 방향으로 순환한다.
○ 오행의 상극 : 목극토, 화극금, 토극수, 금극목, 수극화 라 말하고 오행도에서 시간의 방향으로 한칸 건너에 있는 오행을 극한다.
▶오행의 상극
. 봄에 가을 날씨가 닥친 것처럼 부자연스러운 힘이다.
. 하나의 오행이 다른 오행을 파괴하는 것으로 에너지의 충돌이다.
. 인위적이고 치열하고 격렬한 활동이다.
. 내면에 숨겨진 강한 욕망의 발현이다.
▶오행 상극의 확장된 의미
. 목극토 : 도전의 열망이 안정을 깨다.
. 화극금 : 열정적으로 나를 표현해 주관을 잃다.
. 토극수 : 안정이 창의성과 유연성을 빼앗다.
. 금극목 : 강한 주관이 도전을 방해한다.
. 수극화 : 느긋한 여유로 인해 추진력을 잃다.
▶오행의 상극과 소모(消耗)
. 목은 토를 극하고, 토는 목을 소모한다.
. 화는 금을 극하고, 금은 화를 소모한다.
. 토는 수를 극하고, 수는 토를 소모한다.
. 금은 목을 극하고, 목은 금을 소모한다.
. 수는 화를 극하고, 화는 수를 소모한다.
▶오행의 상극이 잘 안되는 경우 : 극을 당하는 대상의 세력이 클 경우 극이 이뤄지지 않는 현상.
. 토다목절(土多木切) : 나무가 흙을 잡지만 흙이 너무 많으면 나무가 흙에 꺾여버린다.
. 수다토류(水多土流) : 흙이 물을 가두지만 물이 너무 많으면 둑이 무너진다.
. 화다수패(火多水敗) : 물이 불을 끄지만 불이 너무 세면 물이 증발한다.
. 금다화멸(金多火滅) : 불이 쇠를 녹이지만 금이 너무 많으면 불이 꺼진다.
. 목다금절(木多金切) : 쇠가 나무를 자르지만 작은 칼은 나무를 자르다가 부러진다.
▶오행에 관한 첫 기록
- 공자 <서경> '홍범편' : 은왕조의 기자(箕子)가 무왕(武王)에게 전한 말을 기록한 것으로 오행을 다섯 가지의 기본 과정을 나타내려는 노력의 소산이며, 영원히 순환운동을 하고 있는 다섯 개의 강력한 힘으로 나타낸다.
“오행에 관하여 그 첫째는 수(水)이고, 둘째는 화(火), 셋째는 목(木), 넷째는 금(金), 다섯째는 토(土)이다. 수의 성질은 물체를 젖게 하고 아래로 스며들며, 화는 위로 타올라 가는 것이며, 목은 휘어지기도 하고 곧게 나가기도 하며, 금은 주형(鑄型)에 따르는 성질이 있고, 토는 씨앗을 뿌려 추수를 할 수 있게 하는 성질이 있다. 젖게 하고 방울져 떨어지는 것은 짠맛[鹹味]을 내며, 타거나 뜨거워지는 것은 쓴맛[苦味]을 낸다. 곡면(曲面)이나 곧은 막대기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신맛[酸味]을 내고, 주형에 따르며 이윽고 단단해지는 것은 매운맛[辛味]을 내고, 키우고 거두어 들일 수 있는 것은 단맛[甘味]을 낸다.”
▶오행의 상생상극에 관한 첫 기록
- 전국시대(기원전 3세기) 제나라 추연(鄒衍)에 의해 완전하게 체계(상생상극)를 갖춤
전국시대에 오행은 상생설(相生說)과 상극설(相剋說)이 생겨 우주나 인간계의 현상을 오행의 상생·상극으로 이해하고 예측하는 사고법이 발생하였다. 그것이 일반적으로 이르는 오행사상(五行思想)이다. 오행의 '상생(相生)'이라는 것은 목(木)은 화(火)를 생하고, 화(火)는 토(土)를, 토(土)는 금(金)을, 금(金)은 수(水)를, 수(水)는 목(木)을 생한다고 생각하는 순환 변전의 이치이다. '상극(相剋)'이라는 것은 수는 화를 이기고, 화는 금을, 금은 목을, 목은 토를, 토는 수를 이긴다는 것이다. 음양이원(陰陽二元)의 생각과 융합하여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로 발전하였다.
<출처>
이희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현묘 「나의 사주명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