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양오행

음양, 태극

by 아토할란 2024. 6. 13.

≪주역≫ 계사(繫辭)의 “역(易)에 태극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兩儀 : 음양)를 낳는다.”에서 유래한다.

 

역의 우주관은 역에 태극이 있고 여기서 음양→4상(四象)→8괘(八卦)로 전개되는데, 앞의 문장에서 ‘이것이’라는 말이 태극만을 지칭하는 것인지는 의문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태극으로 본다 해도 ‘낳는다’는 표현이 시간적 선후가 있는 유출론적인 것인가, 아니면 존재론적인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나올 수 있다. 후에 여러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개진했는데, ≪한서≫ 율력지(律曆志)에는 태극을 원기(元氣)로 보았고, ≪주역정의 周易正義≫에서는 천지가 나누어지기 이전에 혼돈 상태로 있는 원기로 보았다.

이는 모두 당시 팽배하던 노장사상의 영향 속에서 태극을 기(氣)로 본 것이다. 즉, 원기인 태극에서 음양이 유출되어 나오는 것으로 본 것이다.

 

송나라의 주돈이(周敦頤)는 ≪태극도설 太極圖說≫을 지어 ≪주역≫에 나타난 본체관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려 했는데, 무극(無極)과 동정(動靜)의 개념을 첨가해 “무극이면서 태극이다. 태극이 동하면 양이 되고, 정하면 음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오행(五行)을 덧붙여 태극→음양→오행→만물의 우주론을 성립시켰다. 그러나 그는 다시 이 과정을 역추(逆推)해 “오행이 음양이고, 음양이 태극이며, 태극이 무극이다.”고 말한 점에서 단순히 유출론적 우주론을 주장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주자(朱子)는 이 태극을 이(理)로 규정해 형체도 없고 작용도 없는 형이상학적 존재이면서 동시에 모든 존재자가 존재자이게 할 수 있는 근원 존재로 보았다. 이러한 태극은 모든 존재자들의 존재원인이면서 동시에 구체적인 현상의 존재자들 모두의 속에도 이치로서 들어 있다.

 

이는 태극에서 만물이 나왔다는 논리에서 볼 때, 만물 속에 태극이 그 원인자로 존재하게 되는 당연한 귀결이다. 그러므로 태극은 만물의 총체적인 보편 원리인 동시에 특수한 개별자들의 특수 원리가 된다.

이 양면성이 보편 원리라는 점에서는 ‘통체태극(統體太極)’으로 나타나고, 특수 원리라는 점에서는 ‘각구태극(各具太極)’으로 표현된다. 이런 사실은 태극을 통해 특수와 보편을 서로 연계시켜 이해하는 것이다.

 

즉, 태극은 현상으로 드러나는 음양·오행·만물 속에 내재하는 보편의 원리이며, 또 개별적 존재자의 실(實)과 서로 상함(相涵)되어 있는 개별 존재의 원리이다. 따라서 현상으로 드러난 변화를 말할 때에는 태극에 동정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그 변화의 원인을 말할 때에는 태극은 본연의 묘(妙)이며 동정의 가능성을 품고 있는 것이 된다.

 

명대에 이르러 왕수인(王守仁)은 심즉리(心卽理)의 입장을 취해 ≪전습록 傳習錄≫에서 태극을 ‘생생하는 이치(生生之理)’로 파악했고, 명말·청초의 왕부지(王夫之)는 ≪주역내전 周易內傳≫에서 “음양이 섞여 있는 이치일 뿐”이라고 하여, 태극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음양의 양면성을 함께 갖추고 동정을 통해 모습을 드러내는 상대성을 가진 존재로 파악하였다.

 

주역의 역()자는 바꿀 역, 쉬운 이 등의 의미가 있다.

주역의 삼의로 변력(變易), 불역(不易), 간이(簡易)가 있다. 

변력(變易)은 세상의 생명을 가진 모든 것은 변화한다는 의미다. 

불역(不易)은 삼라만상이 변화하지만 변화하는 이치는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간이(簡易)는 변화의 원리는 매우 단순하다는 의미다. 

 

변력(變易)불역(不易)은 '세상의 만물은 상대적인 것은 불변의 진리고 이 진리는 절대적이다.' 라는 의미와 같다.

 

< 음양의 속성 >

음 : 감춰진, 무거운, 소극적인, 정적인, 질

양 : 드러난, 가벼운, 적극적인, 동적인, 기

 

음양은 대대성()으로 존재한다.

생명을 가진 존재는 모두 음양을 가지고 있고, 기와 질은 동시에 존재한다.

음양은 절대 독립해서 존재할 수 없다.

음양은 시간을 매개로 계속 움직이고 변화한다. 

음양은 상호의존적이다.

예를 들어 지구상의 남성을 목성으로 모두 이주시키면 지구상의 여성은 더이상 여성이 아니고 그저 사람이다. 목성의 남성도 더이상 남성이 아니고 그저 사람이다.

 

 

<출처>

이희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현묘    나의 사주명리 

현묘  '안녕, 사주명리' 블로그 

명재원  '사람공부'  유튜브

 

'음양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행의 상징  (0) 2024.06.14
오행의 기원  (2) 2024.06.14
음양의 기원  (1) 2024.06.13
음양, 적천수  (2) 2024.06.13
음양, 도덕경  (2) 202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