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를 해석하기 위한 여러 방법론 중에 궁성론에 대해 알아보자.
이런 방법론은 절대적이지 않으며 사주를 해석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을 의미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 궁성론(宮星論)
궁위론은 사주팔자의 년월일시 자리의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위치에 따른 오행과 육친을 해석하는 고전명리의 이론이다.
궁성론은 궁위론에 십성의 의미를 부여한 이론으로 대만의 하건충의 이론을 활용한다.
각 궁위별 십성의 의미를 보고 사주팔자의 간지의 십성의 의미를 해석한다.
궁성론에서는 팔자의 궁(宮)과 성(星)의 건전여부는 조옹(助旺), 생왕(生旺), 손실(損失), 파궁(破宮), 파성(破星)으로 분류된다.
정인의 궁(宮)인 연지에 자리한 육친(星)에 따라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 정인궁에 비견이 있으면, 정인궁은 비견성을 생(生)하니 손실이고, 비견성은 정인궁으로부터 생(生)을 받아 생왕한 상태이며,
- 정인궁에 상관이 있으면, 정인궁은 극을 하여 손실이고, 상관성은 수극되니 파성이며,
- 정인궁에 편재성이 있으면, 정인궁은 수극되어 파궁되며, 편재성은 극을 하여 손실이며,
- 정인궁에 정관이 있으면, 정인궁은 생(生)을 받으니 생왕이며, 정관성은 생(生)하여 손실이며,
- 정인궁에 편인이 있으면, 서로가 돕게 되니 정인궁도 조옹이고, 편인성도 조왕의 상태가 된다.
궁성의 상태가 판단이 되면, 각 궁위에 있는 육친성과 궁위의 역량은 조왕 〉 생왕 〉 손실 〉 파궁=파성의 순으로 있다.
만약 각 궁위에 있는 육친성이 파성이 되고, 그 궁도 파궁이 된 경우는 명주는 해당 궁성의 육친과는 인연도 떨어진다. 어느 육친의 역량이 높다고 그 육친이 팔자의 길함을 더 높인다고 볼 수는 없고, 육친의 역량이 높으면 그 육친의 길흉에 대한 영향력이 높아진다. 처궁인 일지궁에 재성이 있어 조왕하고, 사주의 격이 인수격으로 인수가 약할 때는 인경봉재(印輕逢財)가 되어 인수격의 패격(敗格)이 된다. 이 경우 재성은 흉한 방향으로 역할이 높아지게 된다.
< 궁성론 해석의 예 >
남명의 조직성(정관)을 나타내는 월지에 오화 상관이 있어 조직생활은 힘들 수 있다.
남명의 종교성(편인)을 나타내는 시간에 무토 편재가 있어 재극인하니 종교생활은 안 할 수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현묘 「나의 사주명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