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4절기27

입하(立夏) ▶ 입하(立夏) 입하는 24절기의 일곱번째로, 여름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절후이다.태양 황경이 45º가 되는 때를 말한다. 양력으로 5월 5일, 6일경이다.곡우(穀雨)과 소만(小滿) 사이에 있다.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뜻으로 맥량(麥凉), 맥추(麥秋)라고도 하며, ‘초여름’이란 뜻으로 맹하(孟夏), 초하(初夏), 괴하(槐夏), 유하(維夏)라고도 부른다.   ◎ 입하와 농사 입하가 되면 봄은 완전히 퇴색하고 산과 들에는 신록이 일기 시작하며 개구리 우는 소리가 들린다. 또 마당에는 지렁이들이 꿈틀거리고, 밭에는 참외꽃이 피기 시작한다. 그리고 묘판에는 볍씨의 싹이 터 모가 한창 자라고, 밭의 보리이삭들이 패기 시작한다. 집안에서는 부인들이 누에치기에 한창이고, 논밭에는 해충도 많아.. 2024. 7. 12.
곡우(穀雨) ▶ 곡우(穀雨) 곡우은 24절기의 여섯번째로,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이 윤택해진다.태양 황경이 30º가 되는 때를 말한다. 황소자리가 시작되는 때이다. 양력으로 4월 19일, 20일경이다.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있다.  ◎ 곡우와 농사 곡우부터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된다. 곡우 때쯤이면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이 윤택해진다. 그래서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 즉 그해 농사를 망친다는 말이 있다.옛날에는 곡우 무렵이면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하기 위하여 볍씨를 담갔는데, 이때 볍씨를 담가두었던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두며 밖에서 부정한 일을 당하였거나 부정한 것을 본 사람은 집 앞에 와서 불을 놓아 악귀를 몰아낸 다음 집안에 들어오고, 들어와서도 볍씨를 보지 않는다. 만일, 부정한 사람이.. 2024. 7. 12.
청명(淸明) ▶ 청명(淸明)청명은 24절기의 다섯번째로,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이다. 태양 황경이 15º가 되는 때를 말한다. 양력으로 4월 4일, 5일경이다.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있고 한식(寒食)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일 수 있다.  ◎ 청명의 기록중국에서는 청명 15일 동안을 5일씩 3후(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오동나무의 꽃이 피기 시작하고, 중후(中候)에는 들쥐 대신 종달새가 나타나며, 말후(末候)에는 무지개가 처음으로 보인다고 하였다.『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청명조(淸明條)의 기록에 따르면, 이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치며, 임금은 이 불을 정승과 판서를 비롯한 문무백관 그리고 3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준다. 이를 ‘사화(賜火)’라 한다. 수령들.. 2024. 7. 11.
춘분(春分) ▶ 춘분(春分) 춘분은 24절기의 네 번째로, 태양의 중심이 하늘의 적도에 오는 날이다. 태양 황경이 0º이 되는 때를 말한다. 춘분이 태양 황경과 황도 12궁 기준점이 되고 황도 12궁에서는 양자리의 시작점이다.  양력으로 3월 20일, 21일경이다.경칩(淸明)과 청명(淸明) 사이에 있다. 춘분에는 낮과 밤이 같지 않고 낮이 약 8분 정도 더 길다. 낮과 밤이 같은 날은 춘분보다 며칠 전이다.  ◎ 춘분과 기후춘분에는 낮이 8분 정도 더 길다. 낮과 밤은 태양의 중심이 지평선에 걸리는 시점들을 기준으로 삼는게 아니고, 태양이 보이고 안보이고의 시점들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아침에 태양이 머리만 살짝 내밀어도 낮이 시작되고 저녁에 꼬리까지 다 져야 비로소 낮이 끝나기 때문에, 춘분 추분에는 낮이 조금 .. 2024. 7. 10.
지지와 시간 실제 태양의 위치는 협정표준시와 균시차가 발생한다. 우리나라는 동경표준시를 사용하고 있어 실제 태양시와 30분 차이를 명리에서는 보정하여 사용한다.11시~1시 구간은 지지가 나타내는 자시는 명리에서는 11시31분~1시30분을 의미한다.철공소닷컴 만세력 등 일부 만세력의 경우 서머타임과 국내 출생지별 시간 차이를 보정해준다.   ▶ 균시차(equation of time) 균시차(equation of time)는 태양시(true solar time, apparent solar time)와 평균태양시(mean solar time)의 차이이다. 이런 차이가 생기는 것은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고 지구 공전궤도가 타원이어서, 천구에 투영된 태양의 일주운동(diurnal motion) 속도가 일정하기 않기 때문이.. 2024. 6. 30.
24절기 절기는 태양년을 태양의 황경에 따라 24등분한 기후의 표준점이다. 시령·절후라고도 한다. 황경이란 태양이 춘분에 지나는 점을 기점으로 하여 황도에 따라 움직인 각도를 말하며, 황경이 0°일 때를 춘분으로 하여 매 15°마다 새로운 절기로 구분한다. 계절을 세분하여 대략 15일 간격으로 나타낸 달력이라 할 수 있다. 24절기는 다시 홀수 번째 절기를 절로, 짝수 번째 절기를 중으로 구분한다. 중이 되는 절기는 음력 열두 달의 이름을 정하는 절기인데 음력의 달에서 24절기의 중기가 빠진 달이 생기면 이 달을 윤달로 쳐서 양력과 음력의 차이를 보완한다.절기력에서는 입춘(인목), 입하(사화), 하지(오화), 입추(신금), 입동(해수), 동지(자수)가 의미가 있다.    24절기가 계절의 길잡이가 된다.24절기가.. 2024. 6. 30.
역법(曆法) 천체의 주기적 현상에 따라 시간 단위를 정해 나가는 체계를 역(曆)이라 하고 역을 편찬하는 원리를 역법이라 한다. 역법에는 순태음력, 태양태음력, 태양력 등이 있다.  지구의 자전주기는 하루(1일)라는 시간 단위이고, 지구의 공전주기와 달의 삭망주기는 한 해(1년)와 한 달(1월)이다. 이들의 천체운동은 매우 규칙적이고, 모든 사람이 함께 관측할 수 있으며, 또 그 주기는 사람들이 임의로 고쳐 쓸 수 없다.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이들 세 주기 사이의 관계가 간단하지 않다는 데 있다. 즉, 1태양년과 1삭망월이 1일의 정수배가 아니라는 점과, 1태양년이 1삭망월의 정수배가 아니라는 점이다. 이들 세 주기 중에서 어떤 주기를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순태음력(純太陰曆) ·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 · 태양.. 2024.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