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4절기

우수(雨水)

by 아토할란 2024. 7. 19.

우수(雨水)

우수는 24절기의 두번째로,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말이니 이제 추운 겨울이 가고 이른바 봄을 맞게 되었다는 의미다.

태양 황경이 330º가 되는 때를 말한다.

양력으로 2월 19일, 20일이다.

입춘(立春) 경(驚蟄) 사이에 있다.

[ 표1. 24절기와 계절, 지지 ]

 

 

◎ 우수와 기후

중국 사람들은 우수 입기일 이후 15일을 5일간씩 세분하여 그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를 3후(三候)라고 한다.

즉, 첫 5일간은 수달(水獺)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다음 5일간은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마지막 5일간은 초목에 싹이 튼다고 하였다. 우수 무렵이 되면 그동안 얼었던 강이 풀리므로 수달은 때를 놓칠세라 물 위로 올라오는 물고기를 잡아 먹이를 마련한다. 원래 추운 지방의 새인 기러기는 봄기운을 피하여 다시 추운 북쪽으로 날아간다. 그렇게 되면 봄은 어느새 완연하여 마지막 5일간, 즉 말후(末候)에는 풀과 나무에 싹이 튼다.

 

음력으로는 대개 정월에 들며 우수라는 말은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말이니 이제 추운 겨울이 가고 이른바 봄을 맞게 되었다는 것이다. 사실상 태음태양력(음력)에서 정월은 계절상 봄에 해당된다. “우수 뒤에 얼음같이”라는 속담이 있는데 이는 슬슬 녹아 없어짐을 이르는 뜻으로 우수의 성격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

 

이 무렵에 꽃샘추위가 잠시 기승을 부리지만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는 속담이 있듯이 우수와 경칩을 지나면 아무리 춥던 날씨도 누그러져 봄기운이 돌고 초목이 싹튼다.

 

◎ 우수와 농사

농사일을 본격적으로 준비할 때이기 때문에 옛 농민들은 새해 농사 계획을 세우고 한해 농사에 쓸 좋은 씨앗을 고른 다음, 먼저 논밭태우기를 해서 들판의 해충이나 알을 태워버려 타다 남은 재는 다음 농사를 위한 거름으로 사용했다.

 

 

[ 그림1. 우수의 풍경 ] 출처.「국립민속박물관」

 

 

 

 

 

<출처>

「국립민속박물관

「나무위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현묘    나의 사주명리 

현묘  '안녕, 사주명리' 블로그 

'24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칩(驚蟄)  (0) 2024.07.19
입춘(立春)  (1) 2024.07.19
대한(大寒)  (0) 2024.07.19
소한(小寒)  (0) 2024.07.19
동지(冬至)  (2) 2024.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