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지지

형(刑)

아토할란 2025. 1. 16. 15:33

천간과 지지의 작용으로 합()·충(沖)·형(刑)과 파()·해() 등이 있다. 
오행의 작용은 생극제화(生剋制化)이다.

간지의 작용이 오행의 작용보다 구체적이고 우선적이다.

 

간지의 작용은 대표적으로 합충형이 있고 천간은 천간끼리 지지는 지지끼리 작용한다.

간지의 작용으로 천간은 합충만 존재하고 지지는 합충형파해가 다 존재한다. 

주요 작용을 하는 합충형에 대해 알아보자.

 

합충형의 작용을 좋고 나쁨으로 오해하지 말아야 한다.

합이 좋기만 한 것도 충이 나쁘기만 한 것이 아니다.

합이 많으면 삶의 사연이 많고, 충이 많으면 사건사고가 많다. 

 

원국에서의 합충형은 그 상황에 대한 잠재성을 의미하고, 운으로 합충형이 일어날 때 원국의 상태를 변화시킨다.

합 > 충 > 형의 우선순위를 가진다.

합충이 동시에 발생하면 합이 되었다가 충이 발생한다고 본다. 즉, 충은 합을 깬다.

충형이 동시에 일어나면 충으로 해석한다.

 

 

- 원국에 형이 완성된 경우, 운으로 형을 이루는 글자가 와서 형을 동하게 하고, 이 시기는 유의해야 한다.

- 연지와 시지가 같은 글자여서 동시에 형이 되는 구조일 경우, 오래 지속되는 지병이 발병하거나 형의 상황이 지속되는 경향이 있어, 이 시기는 유의해야 한다. 

 


 

 

연해자평의 기록

더보기

寅刑巳, , 申刑寅(爲侍勢刑)
인사신(寅巳申)은 서로 묶이는 관계이다.

이를 시세지형이라 하고 힘을 믿고 날뛰는 형이라는 의미다.


丑刑戌, 戌刑, 未刑丑(爲無恩刑)
축술미(丑戌未)는 서로 묶이는 관계이다.

이를 무은지형이라 하고 은혜를 모르는 형이라는 의미다.


子刑卯, 卯刑子(爲無禮之刑)
자묘(子卯)는 서로 묶이는 관계이다.

이를 무례지형 혹은 무찰지형일 하고 예를 모르는 형이라는 의미다. 


辰午酉亥,自刑之刑.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는 스스로가 묶이는 관계이다.

 

 


 

 

 

 

형(刑)

형은 국과 국이 만나 기운이 과해져 강제적인 조정을 불러온다는 의미다.

형벌, 제재, 강제적인 조정을 의미한다.

 

삼형(三刑) : 인사신(寅), 축술미(丑)

상형(相刑) : 자묘(子)

자형(自刑)  : 해해(亥), 진진(辰), 오오(午), 유유(酉)

 

 

◎ 인사신 삼형

시세지형(侍勢刑)이라 한다.

기가 과해져 중화를 잃어버려 해를 유발하므로 강제적인 조정이 일어난다.

사회적으로는 위법하거나 제도를 어겨 처벌, 고소, 소송 등이 일어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관계에서 배신, 반복, 이별 등의 조정이 생기고, 신체적으로 수술, 시술, 질병 등이 생길 수 있다.

 

사주의 기운은 자신이 당하거나 밖으로 표출하느냐의 문제다.

원국에서 형이 강할 경우 업상대체할 직업에 종사하는 것이 좋다.

검찰, 경찰, 교정직, 의사, 노무사, 구조조정 담당자, 중재, 튜닝 등의 직업과 직무 등에 해당된다.

 

길하게 발현되면 출세하거나 명예를 얻는다.

단, 사주가 유기해야하고 큰 조직(공공기관이나 대기업)에 종사중이어야 한다.

흉하게 발현되면 배신, 반목이 일어나 송사에 취말린다.

생지의 성격이 발현되어 갑질할 수 있다.

 

- 사주가 유기하다는 의미

. 일간이 약하지 않아야 한다.

. 근이 살아있거나 간여지동인 경우이다.

. 사주의 구조가 좋다.

. 유통되거나 합충이 많지 않다.

 

◎ 축술미 삼형

무은지형(無恩刑), 붕형(朋刑)이라 한다.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가 많다.

 

길하게 발현되면 횡재수, 예상치 못한 승진, 큰 권력과 부의 기운이다.

흉하게 발현되면 배신, 불화, 이별, 고독, 송사나 관제(법적인 이슈), 암이나 난치성 질환, 정신적 이슈가 발생한다.

 

◎ 자묘형 

상형(相刑), 무례지형(無禮之刑)이라 한다.

비윤리성, 불륜, 패륜, 폭력적인 상황, 구설수, 애인과의 갈등 등을 암시한다.

남성의 경우 전립선, 성병, 호르몬(갑상선) 등의 질병을 암시한다.

여성의 경우 부인과질병(난소 등), 성병, 호르몬(갑상선) 등의 질병을 암시한다.

 

◎ 자형

잠재적인 취약성을 의미한다.

필자는 첩신만 인정한다.

 

해해 : 혈액, 냉해, 비뇨기계 관련 취약

진진 : 피부, 위장 관련 취약

오오 : 신경, 정신계통, 화상 관련 취약

유유 : 뼈, 수족, 상해 관련 취약

 

 

 

 

 

 

 

 

<출처>

현묘   나의 사주명리 

현묘   '안녕, 사주명리'  블로그 

명재원     '사람공부'  유튜브

현묘의 사주명리 중급 강의

명재원 사람공부 명리학클래스 정규과정